김길성 서울 중구청장이 지난 4월 23일,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했다. 이 캠페인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공동 주관해 펼치고 있다. ‘아이는 행복하고, 청년은 희망을 키우며, 노인은 보람 있는 대한민국이 되도록 함께하자’는 선언문과 함께 전국 지자체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릴레이 방식으로 전개된다. 김길성 구청장은 박희영 용산구청장의 지명을 받아 캠페인에 동참했으며, 다음 주자로 이수희 강동구청장과 이병선 속초시장을 지목했다. 중구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임신부터 출산, 양육에 이르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첫째아 100만 원부터 다섯째아 이상 1천만 원의 ‘출산양육지원금’을 지급하고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바우처 지원을 포함해 최대 150만 원의‘ 중구형 산후조리비’를 지급한다. 또한 몸이 무거운 임신부를 위해 청소, 세탁 등 집안일을 대신해줄 ‘중구 임신부 가사 돌봄 서비스’ △연 10만 원 한도 내에서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를 지원한다. 아울러 올해부터는 출산가정과 2세 미만 영유아 양육가정에 ‘출산가정 배려 스티커’를 배부해 출산 친화 문화 확산에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가 오는 4월 28일 남산골한옥마을 내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충무공 이순신 탄생지 비전 선포식’을 개최한다. 이날 선포식에서 중구는 이순신 장군 탄생 480주년(8주갑)을 맞아 영웅의 탄생지로서 역사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도시정체성을 확립해 글로벌 역사관광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한다. ※ 주갑(周甲):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60년을 돌아 다시 태어난 해의 간지가 돌아왔다는 의미(2025년: 푸른 뱀의 해) 세계적인 명장이자 우리 국민이 가장 존경하는 위인인 충무공 이순신은 한성부 건천동이라 불렸던 지금의 중구 인현동에서 태어나 유년시절을 보냈다. 1985년 충무로 명보아트홀 앞에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 표지석을 세웠고, 2017년 생가 위치와 가까운 신도빌딩 앞에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 안내판을 설치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충무공 탄생지가 서울 중구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 이에 구는 곳곳에 산재한 유·무형의 이순신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복원하며 이순신이라는 위대한 인물의 뿌리 찾기에 나선다. 관내에는 인현동 생가터 외에도 이순신 장군이 무과시험을 봤던 곳이자 봉사와 참군이라는 하위 관직으로 근무했던 훈
서울중구의회(의장 소재권)는 4월 21일 소속의원, 의회사무과 직원등을 대상으로 4대 폭력(성희롱, 성폭력, 성매매, 가정폭력)예방 통합교육을 실시했다. 이날 4대 폭력예방 통합교육은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지방의회 의원을 포함한 공직자 등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법정의무교육으로 의회에서는 올바른 공직문화를 조성하고 조직 내 성인지 감수성을 제고하고자 매년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교육은 한국양성평등교육원 전문강사이며 서울경찰청 소속 현직경찰인 박하연 강사가 맡아 진행했다. 그는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유형 및 사례, 공공부문 스토킹 사건처리 매뉴얼, 성매매 가정폭력 예방교육, 스토킹 범죄 및 디지털 성범죄 등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범죄에 대해서 심도 있게 다뤘다. 소재권 의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4대 폭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확산시키고,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조직문화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모두가 함께 건강하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 주민들로부터 신뢰받는 중구의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