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종로구, 성동구, 중구, 동대문구의회 의장들이(왼쪽부터) 박원순 시장과 면담 후 시청 앞에서 이전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 2014. 3. 26
서울 도심권의 5개 자치구의회 공동협의체(위원장 박기재)가 지난 20일 서울시청에서 박원순 시장을 면담했다.
박기재 위원장(중구의회 의장)은 국립중앙의료원의 원지동 이전에 대한 5개 자치구의회 공동협의체의 공동성명서 등 반대 입장과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각 구의회 의장들은 의회별 자체 결의문을 함께 제출했으며, 중구의회도 의원 전원이 서명한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반대 촉구 성명서를 전달하고 의견을 나눴다.
면담에는 중구의회 박기재 의장, 종로구의회 김복동 의장, 성동구의회 윤종욱 의장, 동대문구의회 김용국 의장이, 서울시에서는 박원순 시장과 복지건강실장, 보건정책관, 보건의료정책과장 등 시 관계자들이 배석했다.
이날 공동협의체는 △무책임한 예산편성에 따른 국립중앙의료원 이전계획을 즉각 철회할 것 △현 의료원 부지의 시설현대화 사업으로의 전환방안을 강구할 것 △서초구 원지동에는 지역특성에 맞는 새로운 의료기관 건립 방안을 마련할 것 △국립중앙의료원 존치로 서울도심권 지역주민과 저소득 서민층의 건강권을 지속적으로 보장할 것을 서울시에 요구했다.
또 원지동으로 이전하게 될 경우 발생할 △서울 도심권역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공공의료서비스 부재 △서울도심지역 각종재난 및 긴급사태 발생 시 필요한 거점의료기관 부재 △강남권역과 강북권역의 의료서비스 불균형에 따른 의료 역차별 초래 등의 문제에 대해 설명하며 국립중앙의료원 존치의 필요성에 대해 피력했다.
면담 후 박기재 공동협의체 위원장은 "의료와 복지는 국가가 책임져야 할 인간존엄성의 문제"라며 "도심권 서민층의 공공의료서비스를 위해 현 국립중앙의료원은 그대로 존치돼야 하며 이를 위해 국회 방문 등 지속적인 노력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중구 을지로에 위치한 국립중앙의료원은 그간 50년 이상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의료취약계층 등 서민들을 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지난 2001년부터 이전이 언급돼 왔다. 그 후 이전을 반대하는 중구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지난 1월 국립중앙의료원 현대화 사업 지원이라는 명목으로 국립중앙의료원 신축·이전에 필요한 계약금 및 감정평가 비용 등 약 165억원의 예산이 편성됐으며, 국립중앙의료원의 원지동 이전이 가시화됐다.
이에 중구의회는 1월 20일 국립중앙의료원 이전반대 성명서를 발표, 관계기관에 이전계획 철회와 대책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지난 2월 7일에는 서울도심권 5개 구의회가 국립중앙의료원 이전에 반대하는 수많은 인근지역주민과 서민들의 뜻을 대표하여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고 공동협의체를 구성했으며 각 구의회별로 결의문을 채택하는 한편, 관계기관과의 면담 등을 추진해 왔다.
얼마 전에는 중구청장, 종로구청장이 이전반대를 위한 공동기자회견을 개최하고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철회 추진협의회'으로부터 이전을 반대하는 주민 4만5천여 명이 서명한 주민서명부를 전달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