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요양시설 설립 필요 제기

국민건강보험자문위원회서…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순기능 역설도

 

◇지난달 25일 개최된 건강보험자문위원회에서 전세균 중구 동부지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중구동부지사(지사장 전세균)는 지난달 25일 자문위원회를 개최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2008년 건강검진등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안들에 대해 논의했다.

 

 국가가 치매ㆍ중풍등을 앓고 있는 노인에 대한 부양의무를 덜어주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이 3개월째 접어들면서 전국 누적 신청인원이 30만명을 돌파했다고 설명했다.

 

 중구운영센터에 따르면 중구노인인구 1만4천여명 중 680여명이 신청, 전체 신청자 중 650여명에 대한 1차 방문조사가 이뤄졌으며 이중 600여명에 대한 등급판정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현재 중구의 장기요양보험 목표 신청인구는 1천189명으로 인식확대 등 대대적인 홍보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제5의 사회보험제도로서 순기능이 많이 알려졌지만 홍보 부족, 법제도 미비, 시설 부족등 혼란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구에서는 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이 입소할 요양시설이 한 곳도 없다.

 침대, 휠체어 생활을 해야 하는 1,2등급의 노인들이 장기요양서비스를 받기위해 경기권이나 충청권까지 찾아가야한다는 것이다.

 

 전세균 지사장은 "중구는 효도특구인 만큼 그 어느 지역보다 노인복지가 뒷받침 돼야 한다"며 "중구에 장기요양시설이 없어 보험의 혜택을 받아야 할 노인들이 갈 곳이 없는 만큼 관내 요양시설 확충을 위한 여론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중구는 방문요양, 목욕, 간호, 보호등 재가복지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장기요양시설이 전무해 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의 불만을 초래할지도 모른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전 지사장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사회안전망으로 평가받는 만큼 많은 이들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운영센터, 읍면사무소, 동 주민센터 등에서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