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월 대보름 유래와 의미

달밝고…귀밝고…한해가 평안

 

◇놋다리 밟기-경북 안동, 의성 등지에서 음력 정원 대보름날 밤에 부녀자들이 행하는 민속놀이.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의 음력 정월 대보름은 우리 민족의 밝음사상을 반영한 명절로 다채로운 민속이 전한다.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인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세시풍속, 민속놀이, 먹거리 등에 대해 알아본다.

 

 ◈정월대보름의 유래

 음력 정월 보름인 1월 15일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이 날을 상원(上元)이라 하는데 도교적인 명칭으로 천관(天官)이 복을 내리는 날이라 한다. 정월에 드는 설과 대보름은 상호보완적으로 설날이 개인적ㆍ폐쇄적ㆍ수직적이고, 피붙이의 명절임에 반해 대보름은 개방적ㆍ집단적ㆍ수평적ㆍ적극적인 마을공동체 명절로 두 관념이 교차하며 달의 생성과 소멸주기에 따라 긴장과 이완, 어둠과 밝음, 나에서 우리로 교체ㆍ확장되는 일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한국의 명절 중 정월 대보름의 예축의례와 상대적인 명절로 수확의례인 8월 한가위의 보름 역시 만월을 통한 풍요관념을 보여준다. 대보름은 상징적인 측면에서 달ㆍ여성ㆍ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에 의한 명절로 달은 곧 물의 여신이므로 대보름과 농경문화는 밀접하다.

 

 ◈세시풍속

 대보름날의 각종 풍속은 전체 세시풍속 중 1/4이 넘을 정도로 풍부한데 설 풍속을 합치면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이것은 정초와 대보름 명절이 우리 민속에서 중요한 비중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이들은 상호 유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월 중에 많은 세시행사가 모여 있다.

 

 ▲동제-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제의. 동신제(洞神祭)라고도 하며 건강과 풍요를 기원했다.

 ▲개보름쇠기-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개를 굶기는 풍속. 이 날 개에게 음식을 주면 1년 내내 파리가 많이 꾀고 개가 쇠약해진다는 속설이 있다.

 

 ▲더위팔기-정월 대보름날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동네 사람을 만나는 대로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게" 하고 더위를 팔면 그 해 여름은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달맞이-정월 대보름날 달을 보고 소원을 빌고, 농사를 점치는 세시풍습. 보름달이 솟을 때에 횃불을 땅에 꽂고 합장해, 풍년ㆍ과거급제ㆍ결혼 등 제각기 소원을 빌면 소원이 성취된다고 믿었다. 보름달을 보고 1년 농사를 미리 점치기도 하는데 달빛이 붉으면 가물고, 희면 장마가 있을 징조라고 한다.

 

 ▲볏가릿대 풍속-농가에서 정월 보름날 하루 전에 볏짚단의 밑부분을 묶고 그 안에 벼ㆍ보리ㆍ조ㆍ기장ㆍ수수ㆍ콩ㆍ팥 등 갖가지 곡식을 이삭채 싸서 긴 장대 끝에 매달아 안채 한 귀퉁이나 외양간 옆에 높이 세우는 것을 볏가릿대라고 한다. 정월 대보름날이 되면, 새벽 일찍이 집안 아이들로 하여금 볏가릿대주위를 돌면서 풍년을 기원하는 노래를 해가 뜰 때까지 부르게 한다.

 

 ▲액연태우기-액운(厄運)을 멀리하고 태우기 위해 겨우내 날리며 놀던 연을 줄을 끊어 날려보내거나 달집에 넣어 태운다.

 

 ◈정월 대보름날 먹거리

 ▲부럼-대보름날 아침에 눈 뜨는 즉시 호두ㆍ잣ㆍ밤ㆍ땅콩 등의 견과를 껍질째 깨물면 일 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고 이가 튼튼해진다고 믿었다.

 

 ▲오곡밥-쌀, 보리, 조, 콩, 기장의 다섯가지 곡식을 넣고 지은 밥을 말한다. 오곡밥을 먹게 된 유래는 약식에 들어가는 잣, 대추, 밤 등은 당시의 평민들은 구하기 어려운 재료였다. 그래서 엄두가 나지 않아서 대신 오곡밥을 지어먹게 됐다.

 

 ▲귀밝이술-보름날 아침에 가족이 모여 웃어른이 찬술을 한 잔씩 따라주며 마시게 하는 술로서 데우지 않은 술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또 그 해 1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남녀, 늙은 사람 젊은 사람 모두가 마셨다.

 

 ▲약식-약밥 또는 약반이라고도 한다. 대추ㆍ밤ㆍ꿀ㆍ잣 등을 섞은 찹쌀밥으로 신라 때부터 즐겨 먹고 있는데 이는 왕실의 위기를 구해준 까마귀에게 고맙다는 뜻으로 약밥을 지어서 제물로 바쳤다.

 

 ◈정월대보름의 민속놀이

 ▲놋다리밟기-경북 안동 ㆍ의성 등지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밤에 부녀자들이 하는 민속놀이. 기와밟기라고도 한다. 단장한 젊은 여자들이 공주를 뽑아 자신들의 허리를 굽혀 그 위로 걸어가게 하는 놀이로, 놀이 지역은 금남(禁男)의 지역으로 선포된다.

 

 ▲다리밟기-정월 대보름날 밤에 다리[橋]를 밟는 전통적인 민속놀이. 답교(踏橋)라고도 한다. 다리를 밟으면 1년 내내 다리[脚]에 병이 없고, 12다리를 건너면 12달의 액을 막는다 하여 남녀노소 ㆍ상하귀천의 구별 없이 했다.

 

 ▲쥐불놀이-쥐불놀이는 원래 새해 첫 쥐날(上子日) 민속이었다. 남자들이 논두렁에 불을 질러 쥐를 없앰으로써 그해 풍년을 바라는 뜻이 담겨 있다.

 

 ▲북청사자놀이-함남 북청군 일대에서 해마다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 며칠 동안 연희된 사자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15호. 놀이의 목적은 벽사진경(邪進慶)에 있는데, 벽사할 능력을 가진 백수(百獸)의 왕사자로 잡귀를 몰아내어 마을의 평안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시절 윷놀이-황해도 장연 지방에서 정월 대보름에 즐겨온 민속놀이. 행사에 앞서 벌이는 윷놀이를 통해서 그해 농사의 흉풍을 점치는 까닭에 이와 같이 부른다.

 

 ▲남녀 줄다리기-달맞이가 끝나면 남정네와 여인네들이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는데 여인네들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 하여 남정네들은 슬그머니 져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