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의료원 노인전문 병원 되나

나경원 의원, 보건복지·국립의료원·서울시 관계자 간담회서 제안

 

지난 2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5층 나경원 의원실에서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설치 문제에 대해 관계자들이 각각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이 2014년 하반기 서초구 원지동으로 이전하고, 현부지는 매각해 자금을 확보하려는 계획을 뒤집고 중구에 존치될지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나라당 나경원 국회의원은 지난 2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사무실에서 국립중앙의료원 이전과 관련,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시, 보건복지부 관계자 등 7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현 부지를 매각하는 것 보다는 국립의료원 분원이나 노인전문병원으로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나 의원은 "본원은 이전하되 분원을 남겨 이를 노인전문병원 등으로 한다면 서로 윈윈 할 수 있지 않겠느냐"며 "중구민들이 장례식장을 많이 이용하고 있어 용도에 맞는 분원 검토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또 "국립중앙의료원의 기능을 분산시키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며 "검역, 연구, 요양 등 기능별로 분원화 시키는 방향도 생각해 보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쟁점별 검토가 필요하며 을지로 부지에 대한 이득을 남기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에 따르면 신축재원 6천150억원 마련을 위해 공공개발을 추진중이며, 공공개발 시 신축병원의 소유권 관계가 명확히 설정될 수 있도록 설립법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의료원은 그동안 서울시에 부지개발 제안서를 제출한 뒤 MOU를 체결했으며,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신축관련 간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친 뒤 원지동 추가 부지에 대한 도시관리계획 변경 타당성 용역을 발주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에서는 국립중앙의료원 후면 담장에 있는 상가 55개를 흡수개발하고, 비즈니스 호텔 350실을 건립, 국립중앙의료원 소유 도로를 일부만 부지로 인정하는 등을 요청한 상태며, 국립중앙의료원에서는 상가 55개는 집단민원발생(보상 등)으로 많은 장애요인이 예상돼 수용이 불가하며, 비즈니스 호텔 건립은 수익성을 담보할 수 없으므로 인수자 사전선정 시 추후 고려해야 하고, 도로는 전부를 부지로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출한 상태다.

 

이에 의료원측에서는 서울시에 원지동 병원신축 재원인 6천150억원은 현 을지로 부지개발 매각대금으로 충당해야 하므로 개발요건에 대한 서울시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며, 서초구 원지동 부지가 2만1천평이지만, 경부고속도로와 인접해 있어 차량연무 및 소음을 저감할 이격구간 설치와 장례식장 등을 건립하면 실제 가용면적이 1만평 정도로 협소하고, 환자의 접근성이 매우 어려운 상태라는 점 등을 건의하기도 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설치 문제를 다각도로 검토해 어느 쪽이든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모색키로 하고 추후 다시 논의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