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6·2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언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평소에 언론에 관심도 없던 주민들도 시시각각 변화되는 지방선거 상황과 지역정서를 신문이라는 매체를 통해 알 수 있고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역 언론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행정정보는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사건사고 등 지역의 현안문제들을 알차고 충실하게 보도하고 있어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매체로 자리 잡고 있다.
중앙언론은 지역단위의 뉴스까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신문이 아니면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고급정보를 습득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민주주의가 정착되고 인권이 보장되고 소득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뉴스를 전달하는 언론매체는 특정지역을 거점으로 한 지역언론으로 존재하고 있고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행되는 지역신문은 약 500여개에 달한다. 하지만 미국 약 6천여개, 영국에는 1천200개의 지역신문이 발행되고 있는 것에 비하면 많은 것이 아니다.
유럽이나 북미 국가들은 철저히 지역언론 체제를 갖추고 있다. 미국과 독일의 경우 지역일간지가 주축을 이루고 있고, 영국은 중앙일간지와 지역신문이 상호 균형을 이루고 있다.
현재 정부는 3천억원이라는 엄청난 광고를 일간지에만 집중 발주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지역신문에는 한 건의 광고도 발주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잘못된 관행이 지역신문을 어렵게 하고 자생력을 떨어뜨리고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지역신문이 건전한 언론으로 육성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광고를 발주하고 영국처럼 정부차원에서 신문구독을 장려해야 한다. 그래야만 풀뿌리 민주주의를 정착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고 건전한 비판 기능을 키워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조영택 국회의원 등 24명이 '정부기관 등의 광고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하자 지역신문 단체인 (사)전국지역신문협회에서 지역신문에도 반드시 정부광고를 발주토록 해달라는 의견서를 전달했다.
금년 1월1일부터 국무총리 훈령으로 '정부'의 정의를 '지방자치단체'로 확대 해석해 시행한 만큼 지역 주간신문에도 반드시 정부와 공공기관 광고를 골고루 발주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다.
지역언론으로서 막중한 책임감과 지방자치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다해오고 있는 만큼 '정부기관 등의 광고에 관한 법률안'에 지역신문도 적극 반영해야 하는 것은 건강한 지역신문 육성을 위해서도 필연적인 것임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글로벌 시대의 새로운 주역은 지역신문이다. 지역신문이 건강하게 발전해야 지역도 발전하고 국가도 발전할 수 있다는 대명제를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