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일어나자 이제 전쟁이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얘기하는 주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만약의 경우지만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난다면 중구민이나 서울시민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시설은 어떻게 돼 있으며, 주민들은 유사시 어디로 대피해야 할까.
실제로 대다수의 주민들은 대피시설이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될지 잘 모른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실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전면전은 아니더라도 국지전이나 게릴라전은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 우리 한반도의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한다면 군은 군대로 체계적인 군기를 바로 세우고 전력을 증강해야 하겠지만 정부는 정부대로, 자치구는 자치구대로 주민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준비를 강구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방치하다가 실제 공습이나 포격 상황등 비상 상황이 발생한다면 큰 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큰 것은 자명한 일이다.
현재 서울전역에는 3천919개소의 비상 대피시설이 있고, 중구에는 114개의 대피시설이 마련돼 있다고 한다.
연평도에 포격 당시 방공호로 대피했던 주민들은 관리되지 않은 열악한 상황을 개탄했다고 한다. 실제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가장 높은 지역에도 방공호 실태가 심각한 상황이었다면 중구는 물론 서울시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농어촌 지역은 방공호 시설로 지하공간을 따로 만들어 놓았지만 서울에는 그런 곳은 없다고 서울시 관계자가 밝혔다고 한다. 서울 등 대도시의 경우 대형 건물의 지하공간이나 지하철역, 지하보도 등이 많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공습경보가 울리면 공공시설 지하 등 지정된 대피시설로 피신하면 될 수 있도록 지하철역과 주요 공공건물 지하, 터널 등을 구별로 확보해 놓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일반 지하시설은 구조적으로 대피시설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고 한다. 공습이나 재난 등이 발생했을 때 최소한의 생활을 할 수 있는 대비 없이 공간만 제공한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외부에서 공격을 받았을 경우 시민들이 대피를 하게 되면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숙식 등을 해결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대피시설이 될 수 있다고 충고하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현재 비상식량과 비상급수가 가능한 1등급 지휘용 대피시설은 청와대나 군사시설 등 23곳에 불과해 전쟁이 일어나 핵공격을 받을 경우 고위층 일부를 제외하고는 심각한 상황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중구는 이번 연평도 사건을 교훈삼아 반드시 대피시설이나 방공호등의 시설을 1등급에 가깝게 만들어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 만전을 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