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제38대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식을 4월 22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취임식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내에 새로 개관한 화상 스튜디오에서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키로 했다. 이에 따라 참석인원도 김인호 서울시의회의장,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이동진 구청장협의회장으로 최소화해, 어느 때보다 안전하고 간소한 형태로 진행할 예정이다. 취임식은 시민 소망영상, 취임선서, 취임사 발표, 축하인사 등으로 진행된다. 이번 취임식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새로운 서울의 시작을 알리는 비전을 제시하며, 앞으로의 시정운영 방향을 시민과 함께 만들어간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취임식은 서울시 유튜브(http://www.youtube.com/seoullive), 라이브서울(http://tv.seoul.go.kr)에서 동시 중계된다.
정부와 국회, 서울시는 공직자윤리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2021년도 정기재산 공개 대상자에 대한 재산변동내역을 3월 25일 공개했다. 코로나19라는 엄중한 상황속에서도 중구에서 선출된 국회의원(1명), 구청장(1명), 시의원(2명), 구의원(9명) 등 13명의 공직자들 가운데 12명은 재산이 늘어났고 1명은 줄어들었다. 국회공보에 공개된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국회의원의 재산변동신고 내용을 살펴보면 종전가액 24억6천612만원 보다 7천286만 원이 증가한 25억3천899만원으로 등록했다. 서양호 구청장은 종전 4억989만원에서 190만원이 증가한 4억1천179만원으로 신고 했다. 박순규 서울시의원(민주당 중구 1)은 종전 2억3천782만원에서 1억4천968만 원이 증가한 3억8천750만 원을, 박기재 시의원(민주당 중구 2)은 종전 2억3천562만원에서 4천487만원이 증가한 2억8천50만원으로 등록했다. 중구의회 조영훈 의장은 종전 2억6천87만원에서 9천927만원이 증가한 3억6천150만원을 신고했으며, 김행선 부의장은 종전 1억5천743만원에서 1억716만원이 증가한 2억6천459원으로 등록했다. 이승용 의원(의회운영위원장)은 종전 6억3천993만원에
중구(구청장 서양호)는 약수동 노후주택 환경개선에 앞장선 ‘약수공가협동조합’이 2021년도 행정안전부 지정 마을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마을기업은 주민이 지역자원을 활용해 수익사업을 창출하고 그 수익을 통해 지역공동체 이익을 실현하는 마을 단위 기업으로, 지정되면 컨설팅, 판로지원, 홍보 등 다양한 경영지원을 위해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약수공가협동조합은 400여 세대의 노후주택이 밀집돼 있는 약수동 동호터널 일대의 오랫동안 방치된 동네 빈집들을 리모델링 후 취약계층에게 보급하는 사업을 2018년부터 해왔다. 이 사업은 지역의 골칫거리인 빈집을 활용해 마을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인근 주민들의 지역문제 인식과 해결의지로부터 싹텄다. 슬럼화돼 가는 동네를 지켜 본 빈집 주인들과 이웃들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민협의체를 구성하여 빈집 주인과 협의해 우선 5년간 무상임대계약을 체결하고 수선해 주거 취약계층에게 저렴한 월세로 보급하는 ‘약수보금자리’ 임대주택 사업을 기획했다. 2019년에는 뜻을 같이하는 주민들이 공동 출자금을 모아 공사비, 수선비 등을 충당하고 주민의견을 나누는 사회적경제기관인 협동조합을 결성하게 됐다. 2018년 9월 ‘약수보금자리’1호를
중구(구청장 서양호)가 5월 31일까지 2022년 예산편성을 위한 동 주민참여예산 사업의 집중신청기간을 운영키로 했다. 주민참여예산은 예산편성 등 예산과정에 주민의 참여 기회를 보장, 지방재정운영의 민주성·책임성·투명성을 높이고 재원배분의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제안 대상은 지역발전 및 복리증진에 우선되는 지역 밀착형 소규모 사업이며, 구민이나 지역에 위치한 기업‧단체‧학교의 직원 및 학생이라면 누구나 제안이 가능하다. 구는 2019년 1월 전국 최초로 동(洞)정부과를 신설하고, 구청 업무 중 77개 사무와 예산안 편성권도 함께 동주민센터로 이관했다. 동(洞)정부란 말 그대로 동(洞)이 하나의 작은 정부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행정 서비스의 속도와 체감 효과를 높이는 한편 주민 참여의 폭을 넓히겠다는 취지로, 각 동의 예산 역시 주민들의 요구와 제안으로 편성해 왔다. 지난해 주민제안으로 편성된 동 예산만 201건 137억원으로, 실질적 주민자치를 실현하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중구는 지난해 10월 ‘2020년 지방자치발전대상’ 기초단체장 부문 ‘대상’, 12월 ‘제19회 전국주민자치박람회’ 제도정책분야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주민제안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서울시민들의 압도적 지지로 당선되는 파란을 연출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는 서울 25개구에서 단 한 곳도 이기지 못하고 완패했다. 국민의 힘 오세훈 후보는 서울시 선거인수 842만5천869명중 490만2천630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57.50%인 279만8천788표를 얻어 39.18%인 190만7천336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89만1천451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됐다. 중구에서는 선거인수 11만3천861명중 57.43%인 6만5천391명이 투표에 참여해 56.40%인 3만6천881표를 얻어 39.69%인 2만5천958표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16.71%인 1만923표 차이를 기록했다. 국민의 힘 오 후보(괄호는 민주당 박 후보)의 중구 각 동별 특표 현황을 살펴보면 △소공동 612(363) △회현동 1천465(756) △명동 774(485) △필동 1천301(967) △장충동 1천236(935) △광희동 1천324(695) △을지로동 537(338) △신당동 2천87(1천576) △다산동 3천344(2천580) △약수동 5천361(3천398) △청구동 4천155(2천771)
서울시구청장협의회(회장 이동진(도봉구청장), 이하 ‘협의회’)는 지난 3월 31일,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박영선·오세훈 두 후보에게 공개 질의서를 전달하고, 서울시-자치구 간 상생협력을 위한 5대 정책과제에 관한 후보들의 추진 의향을 질문했다. 공개 질의서에는 첫째, ‘시-자치구 행정사무 신설 및 위임 관련 사전 협의제’ 도입, 둘째, 시-자치구 재정부담 심의위원회 제도 도입, 셋째, 도시계획 사무의 자치구 권한 확대, 넷째, 조정교부금교부율’ 상향 조정, 다섯째, ‘특별조정교부금교부율’의 하향 조정 등 모두 다섯 가지 정책과제가 담겨 있다. 협의회에서는 앞서 3월 23일, 서울시 시민청에서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단법인 한국행정학회 등과 더불어 ‘서울시-자치구 상생·협력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이날 중요하게 다루어진 전문가의 의견을 정리해 공개 질의서에 모두 담았다. 이동진 회장은 “작년 말 국회에서 지방자치법전부개정안이 32년 만에 통과되고 올해는 지방자치가 부활한지 30주년을 맞는 상징적인 해다. 지방자치를 둘러싼 객관적 환경이 변화되는 시점에서 치러지는 서울시장 선거를 계기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 뿐 아니라 광역과 기초지방
중구선거관리위원회는 공직선거법 제108조 제1항에 따라 누구든지 선거일 전 6일(4.1)부터 선거일의 투표마감시각까지(4.7. 20:00) 선거에 관해 정당에 대한 지지도나 당선인을 예상하는 여론조사(모의투표나 인기투표에 의한 경우 포함)의 경위와 그 결과를 공표하거나 인용해 보도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텔레비전방송국, 라디오방송국, 일간신문사는 선거의 결과를 예상하기 위해 선거일에 투표소로부터 50m 밖에서 투표의 비밀이 침해되지 않는 방법으로 선거인을 대상으로 질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표마감시각까지 그 경위와 결과를 공표할 수 없다. 공직선거법에 따라 여론조사의 경위와 그 결과를 공표 또는 인용해 보도한 자는 2년이하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의 벌금(법 제256조제3항제1호 파목)에 처하게 된다. 선거기간중이더라도 선거일전 6일 전이나 투표마감 시각 후에 여론조사의 경위와 결과를 공표하는 행위나 여론조사결과 공표 금지기간전에 공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보도하거나 공표 금지기간전에 조사한 것임을 명시해 그 결과를 공표하는 행위,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의 경위와 그 결과의 공표금지기간 중에 불특정 또는 다수의 선거구민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없는 경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할 후보자들이 4월 18일과 19일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후보등록을 하고 오는 25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한다. 선거운동 기간은 4월 6일 자정까지다.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최대 이슈는 야권 단일화였다. 후보등록 후까지 단일화 방식을 두고 연일 샅바싸움을 벌이다가 가까스로 합의한 후 22일 여론조사를 실시, 23일 오전 야권 단일후보는 오세훈 후보로 결정됐다고 정양석 국민의 힘 사무총장이 발표했다. 이에 앞서 이태규 국민의 당 사무총장은 “야권 단일 후보 선출을 위한 여론조사는 3월 22일 한국리서치와 글로벌리서치 등 두 개의 여론조사기관에서 100% 무선전화 안심번호를 통해 각각 총 3천200명, 기관별 1천600명을 대상으로 두 후보의 경쟁력과 적합도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자 등록상황을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기호 1번) 박영선(朴映宣. 61), 국민의힘(기호 2번) 오세훈(吳世勳. 60), 국민의당(기호 4번) 안철수(安哲秀. 59), 기본소득당(기호 6번) 신지혜(申智惠. 33), 국가혁명당(기호 7번) 허경영(許京寧. 73), 미래당(기호 8번) 오태양(吳太陽. 45), 민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