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유권자와의 약속 반드시 지켜야

4·11 총선의 중구 투표율은 54.4%였으며, 서울 투표율은 55.5%였다.

 

전국 투표율 54.3%와 비교하면 비슷한 상황으로 전개됐으며, 2008년 18대 총선 보다는 8.2%나 높은 편이다. 하지만 2004년 제17대 총선 60.6%와 비교해 보면 오히려 6.3%나 낮은 편이다.

 

결국 유권자의 절반 정도가 투표장에 나가지 않고 기권했다는 얘기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중구 유권자 10만6천여명중 48.25%인 5만1천571명이 투표에 참여한 것에 비하면 이번 투표율은 18대 보다도 6.15% 높은 수치다.

 

당초 선거관리위원회 등에서는 58%나 60% 정도가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실제로는 주민들을 투표장으로 끌어내지 못했다. 정당들은 이번 총선이 연말 대통령선거의 전초전이라는 인식에 따라 사활을 건 전투를 벌이면서 상대당 후보를 음해하는 네거티브 선거전이 난무하고, 전략공천과 공천 파동 등이 어우러지면서 국민들의 관심을 크게 끌지 못했기 때문이다.

 

4년 전 대통령 선거가 끝난지 얼마되지 않아 이슈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당시 한나라당이 어렵지 않게 중구에서 승리했다. 이번에는 중구에서 자유선진당 조순형 후보가 사퇴하고, 통합진보신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양당의 혼전이 이어졌다.

 

뒤늦게 전략 공천된 정진석 후보는 중구의 토박이인 정호준 당선자의 벽을 넘지 못하고 패배했다. 중구는 그동안 야성이 강한 지역이었지만 대규모 아파트촌이 들어서면서 보수 성향이 짙어졌고 유권자들도 많이 변했다. 따라서 전반적인 분위기를 예단하기 어려울 정도로 접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이제 선거는 끝났고 승패도 갈렸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국민생각은 선거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승패에 담긴 민심을 헤아려야 한다.

 

이제 당선자는 국회의원으로서 의정활동은 물론 흩어진 중구민들의 민심을 바로잡고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도 창출하면서 중구의 현안문제 해결 등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획일적인 도심규제가 중구발전을 저해하는 근본 요소인 만큼 도심 용적률 상향조정에 앞장서고, 남산최고고도지구로 인해 재산권을 행사할 수 없는 주민들에 대한 대책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중단 문제도 시급해 해결해야 할 과제다.

 

국회의원은 행정부를 견제하고 법률을 제정할 수 있는 입법기관이지만 지역주민들이나 국민들의 여론도 수렴해야 하는 결코 쉽지 않은 자리다.

 

이번 선거가 유권자들이 새로운 변화를 기대하는 심리가 반영됐다고 평가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의정활동도 당연히 뒤따라야 한다. 선거운동기간동안 각동의 골목골목을 누비며 중구의 현실을 직시한 만큼 유권자들에게 호소했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그래야만 주민들이 신뢰할 수 있고 그 선택에 후회하지 않을 것이며 또 다른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가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