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서울시민들의 압도적 지지로 당선되는 파란을 연출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는 서울 25개구에서 단 한 곳도 이기지 못하고 완패했다. 국민의 힘 오세훈 후보는 서울시 선거인수 842만5천869명중 490만2천630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57.50%인 279만8천788표를 얻어 39.18%인 190만7천336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89만1천451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됐다. 중구에서는 선거인수 11만3천861명중 57.43%인 6만5천391명이 투표에 참여해 56.40%인 3만6천881표를 얻어 39.69%인 2만5천958표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16.71%인 1만923표 차이를 기록했다. 국민의 힘 오 후보(괄호는 민주당 박 후보)의 중구 각 동별 특표 현황을 살펴보면 △소공동 612(363) △회현동 1천465(756) △명동 774(485) △필동 1천301(967) △장충동 1천236(935) △광희동 1천324(695) △을지로동 537(338) △신당동 2천87(1천576) △다산동 3천344(2천580) △약수동 5천361(3천398) △청구동 4천155(2천771)
서울시구청장협의회(회장 이동진(도봉구청장), 이하 ‘협의회’)는 지난 3월 31일,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박영선·오세훈 두 후보에게 공개 질의서를 전달하고, 서울시-자치구 간 상생협력을 위한 5대 정책과제에 관한 후보들의 추진 의향을 질문했다. 공개 질의서에는 첫째, ‘시-자치구 행정사무 신설 및 위임 관련 사전 협의제’ 도입, 둘째, 시-자치구 재정부담 심의위원회 제도 도입, 셋째, 도시계획 사무의 자치구 권한 확대, 넷째, 조정교부금교부율’ 상향 조정, 다섯째, ‘특별조정교부금교부율’의 하향 조정 등 모두 다섯 가지 정책과제가 담겨 있다. 협의회에서는 앞서 3월 23일, 서울시 시민청에서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단법인 한국행정학회 등과 더불어 ‘서울시-자치구 상생·협력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이날 중요하게 다루어진 전문가의 의견을 정리해 공개 질의서에 모두 담았다. 이동진 회장은 “작년 말 국회에서 지방자치법전부개정안이 32년 만에 통과되고 올해는 지방자치가 부활한지 30주년을 맞는 상징적인 해다. 지방자치를 둘러싼 객관적 환경이 변화되는 시점에서 치러지는 서울시장 선거를 계기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 뿐 아니라 광역과 기초지방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박기재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중구 2)은 3월 24일 수도권일보와 시사뉴스가 주관한 ‘2020 행정사무감사 우수의원상’을 수상했다. ‘행정사무감사 우수의원상’은 주관 언론사가 행정사무감사 현장을 모니터링해 철저한 준비, 전문적 식견, 참신한 정책 제안 등을 제시한 의원들을 대상으로 철저한 검증을 통해 수여하고 있는 상이다. 박기재 의원은 보건복지위원회 부위원장으로서 2020년 행정사무감사 기간 동안 △‘우리동네 키움센터 확충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공간과 예산 등 여건을 고려하고 철저한 준비를 거쳐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을 요구했으며, △사회서비스원에 대해 사업수입 예산액 대비 발생 수입의 저조, 민간 기피 서비스 이행실적 미흡 등의 문제를 지적하면서, 정확한 기초자료에 근거한 예산 수립과 수익 창출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민간기관과 차별성을 갖는 사회서비스원만의 정체성을 확립할 것을 제안했다. △중구를 비롯한 도심권 시민의 건강권 보장과 생명 및 안전 담보를 위해 국립중앙의료원을 중구 소재 美 극동공병단 부지로 이전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하는 등 보건복지 분야 전반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과 정책대안 제시로
중구선거관리위원회는 공직선거법 제108조 제1항에 따라 누구든지 선거일 전 6일(4.1)부터 선거일의 투표마감시각까지(4.7. 20:00) 선거에 관해 정당에 대한 지지도나 당선인을 예상하는 여론조사(모의투표나 인기투표에 의한 경우 포함)의 경위와 그 결과를 공표하거나 인용해 보도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텔레비전방송국, 라디오방송국, 일간신문사는 선거의 결과를 예상하기 위해 선거일에 투표소로부터 50m 밖에서 투표의 비밀이 침해되지 않는 방법으로 선거인을 대상으로 질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표마감시각까지 그 경위와 결과를 공표할 수 없다. 공직선거법에 따라 여론조사의 경위와 그 결과를 공표 또는 인용해 보도한 자는 2년이하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의 벌금(법 제256조제3항제1호 파목)에 처하게 된다. 선거기간중이더라도 선거일전 6일 전이나 투표마감 시각 후에 여론조사의 경위와 결과를 공표하는 행위나 여론조사결과 공표 금지기간전에 공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보도하거나 공표 금지기간전에 조사한 것임을 명시해 그 결과를 공표하는 행위, 선거에 관한 여론조사의 경위와 그 결과의 공표금지기간 중에 불특정 또는 다수의 선거구민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없는 경
4.7서울시장 보궐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3월 25일 오전 8시경 신당5동 주민센터 인근 사거리에서 선거운동을 하던 더불어민주당 선거캠프 시·구의원 3명이 갑자기 쓰러진 시민을 응급조치로 살려 화제가 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의 선거운동을 하고 있던 박순규 시의원, 중구의회 김행선 부의장, 윤판오 의원이 쓰러진 시민에 달려갔다. 박순규 시의원은 심폐소생술을 하고, 윤판오 구의원은 환자의 머리를 바로잡고 말려들어가는 혀를잡아 당기기도 했다. 심정지가 왔기 때문이었다. 김행선 부의장은 119로 전화해 상황을 설명하고 빨리 출동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리고 주변에 협조를 요청하면서 출근시간대 교통이 혼잡함에 따라 직접 교통정리를 하는 등 현장을 수습한 것으로 전해졌다. 5분가량 심폐소생술로 의식을 되찾은 시민은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소방대원들에게 인계된 것으로 전해졌다. 의식을 되찾은 이 시민은 병원으로 이송하지 않고 보호자에게 돌려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박순규 시의원은 “선거운동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사람이 쓰러졌고 혀가 굳어져 있었다”며 “심페소생술을 통해 사람을 살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행선 부의장은 “선거 첫날 이런일이 발생했는데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할 후보자들이 4월 18일과 19일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후보등록을 하고 오는 25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한다. 선거운동 기간은 4월 6일 자정까지다.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최대 이슈는 야권 단일화였다. 후보등록 후까지 단일화 방식을 두고 연일 샅바싸움을 벌이다가 가까스로 합의한 후 22일 여론조사를 실시, 23일 오전 야권 단일후보는 오세훈 후보로 결정됐다고 정양석 국민의 힘 사무총장이 발표했다. 이에 앞서 이태규 국민의 당 사무총장은 “야권 단일 후보 선출을 위한 여론조사는 3월 22일 한국리서치와 글로벌리서치 등 두 개의 여론조사기관에서 100% 무선전화 안심번호를 통해 각각 총 3천200명, 기관별 1천600명을 대상으로 두 후보의 경쟁력과 적합도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자 등록상황을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기호 1번) 박영선(朴映宣. 61), 국민의힘(기호 2번) 오세훈(吳世勳. 60), 국민의당(기호 4번) 안철수(安哲秀. 59), 기본소득당(기호 6번) 신지혜(申智惠. 33), 국가혁명당(기호 7번) 허경영(許京寧. 73), 미래당(기호 8번) 오태양(吳太陽. 45), 민생
중구의회(의장 조영훈)는 3월 11일 본회의장에서 2020 회계연도 결산검사위원 위촉식을 가졌다. 책임검사 위원으로는 고문식 의원, 정기암, 채성만 (전)공무원, 최원익 회계사, 상미정 세무사등 4명을 위촉하고 한 달 간 결산검사위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검사 대상은 중구청의 2020회계연도 △세입·세출의 결산 △계속비·명시이월비 및 사고이월비의 결산 △채권 및 채무의 결산 △재산 및 기금의 결산 △공유재산 및 각종 기금의 결산 등이다. 위원들은 결산서류와 증빙자료를 토대로 구정전반에 걸쳐 재정운영의 타당성과 집행과정의 적정성 및 적법성을 검토하게 된다. 책임검사 위원을 맡게 된 고문식 의원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영세업체와 소상공인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재정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재정 역량을 점검하고 확인하는 결산검사를 통해 유례없는 위기상황에서 재정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합리적인 예산 투입을 유도할 것”이라며 “위중한 시기인 만큼 동료 위원들과 결산 전 과정에 최선의 마음가짐으로 임할 것”이라고 전했다. 조영훈 의장은 “위원들의 오랜 식견과 전문성을 십분 발휘해 성공적인 결산검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3월 10일 열린 제262회 중구의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 앞서 박영한 의원(행정보건위원장)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오는 4월 7일 전국 19개 선거구에서 재보궐선거가 치러지는데 모두 932억원이 소요된다”며 “잘못 선출된 공직자로 하여금 공공질서와 사회안정이 흔들리고 국민생활에 주는 막대한 피해를 상기하고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중에서 민주당 소속 단체장과 의원의 귀책사유로 인해 선거가 실시되는 곳의 선거비용이 총 선거비용의 91%인 약 859억원 차지한다”며 “특히 서울시장 보궐선거 비용만 571억원이 소요되고, 부산시장의 보궐선거 비용만 해도 약 253억원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서울시장 재보궐선거비용 571억원은 서울시가 부담해야 함에 따라 서울시 발전과 시민복지에 투입돼야 할 재원이 그 만큼 쓰여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재정이 열악한 자치구에 단비같은 서울시 교부금 지원에도 그만큼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서울시민과 자치구민에게 돌아게 된다”며 “자신들 스스로 결정한 국민과의 약속을 당의 여론이라는 명목하에 뒤집어 버렸다. 이것이 대통령 취임사에서 국민에게 약속한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