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동맥 일부에 결손이 생겨 그 부분이 꽈리처럼 돌출되는 증상인 ‘뇌동맥류’는 터질 경우 100명 중 병원 도착 전 약 15명이 사망할 만큼 치명적인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뇌동맥류 환자는 2015년 5만8천541명에서 2019년 11만5천640명으로 늘어나 15년 대비 97.5%나 증가 했을 만큼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혈압의 변동폭이 커지면서 뇌동맥류 파열 확률이 높아진다.
일단 파열되면 높은 사망률과 영구적 후유장애를 남기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일산백병원 신경외과 구해원 교수가 말하는 겨울철 뇌동맥류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와 예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Q. 뇌동맥류 어떤 질병인가?
- 뇌동맥류는 인구 200∼300명당 1명 정도가 가지고 있을 정도로 꽤 흔한 질병이다. 뇌혈관은 보통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혈관내벽의 손상 및 결손으로 혈관벽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병을 뇌동맥류(뇌혈관 꽈리)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뇌의 아래쪽인 굵은 근위 뇌동맥부위에 90% 이상이 발생된다. 대부분 뇌동맥류 크기는 10mm 이하인 경우가 많지만 간혹 25mm 이상의 거대 동맥류가 발견되기도 한다. 부풀어 오른 동맥류의 모양에 따라서 가장 흔한 낭상 뇌동맥류가 있으며 그 외에도 방추상 뇌동맥류, 해리성 뇌동맥류로 나눈다. 이러한 뇌동맥류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만성적으로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에게서 잘 발생하며, 또한 후천적으로 혈관벽의 손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가족력으로 발생하는 가족성 뇌동맥류도 있으며, 다낭성 신증후군 같은 유전성 질환의 경우에도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Q. 뇌동맥류 전조증상은?
- 뇌동맥류의 경우 환자가 출혈이 되지 않은 상태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월등히 높은 편이다. 특별한 뇌동맥류 연관증상으로 발견됐다기보다는 건강 검진이나 단순 두통 및 어지러움 증이 있어 시행한 뇌혈관 검사(MRA or CTA)로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비파열성 뇌동맥류는 관련 증상이나 징후는 없는 편이나 간혹 뇌동맥류가 거대해 주변 신경을 눌러 발생부위에 따라 관련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뇌동맥류가 파열돼 뇌출혈을 유발하는 경우 환자에게 큰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뿐만 아니라 약 20∼30%의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두통이 갑작스럽게 발생하거나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두통이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경우, 갑자기 정신을 잃게 되는 경우는 반드시 뇌혈관 신경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Q. 뇌동맥류의 후유증은 무엇인가?
- 뇌동맥류가 터지게 되어 뇌출혈(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면 앞서 언급한대로 30%의 환자는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안게 되고 약 30%는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약 30%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뇌동맥류가 파열이 발생한 경우 대부분의 경우 다시 지혈이 돼 멈추게 된다. 혈관 외 공간 즉 지주막하 공간에 생긴 출혈량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대부분 결정되게 된다. 파열된 환자의 경우 재 출혈이 발생되는 빈도가 매우 높으며 이로 인한 사망률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응급치료를 요하게 된다.
Q. 뇌동맥류 치료법은?
- 뇌동맥류가 발견됐다고 무조건 다 치료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5mm가 넘는 뇌동맥류는 부위를 막론하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뇌동맥류의 치료 방법에는 크게 ‘클립결찰수술’과‘코일 색전술’로 나눌 수 있다. 클립결찰수술의 경우 개두술을 통해 미세현미경으로 직접 뇌동맥류를 확인한 후 동맥류 입구를 클립으로 결찰시키는 방법으로 재발률이 낮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코일 색전술’의 경우 머리 피부의 절개 없이 사타구니에 있는 대퇴 동맥을 통해 뇌혈관까지 접근, 치료하는 수술법으로 최근 많은 수술장비의 눈부신 발전으로 파열 및 비파열 뇌동맥류 대부분의 경우를 코일 색전술로 치료할 수 있으며, 상처 및 통증이 없고 재원기간이 매우 짧아 의료진 및 환자 모두에게 선호되고 있다. 수술방법은 의사와 환자간의 충분한 상의 후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클립결찰술’과 ‘코일색전술’을 겸할 수 있는 의사와 만난다면 환자에게 치료의 선택권이 높아 질 수 있다.
Q. 무조건 치료해야하는 뇌동맥류가 있는가?
- 앞서 말했듯이 뇌동맥류가 발견됐다고 해서 무조건 다 치료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뇌후교통동맥이나 전교통동맥 처럼 파열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기저동맥이나 척추동맥처럼 위험한 부위의 경우는 3-4mm 의 뇌동맥류라 하더라도 혈관 조영술을 해 예방적 치료를 권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3mm 이하의 뇌동맥류는 보통 1년에 한번 전문의의 진단을 통해 크기나 모양이 변화하는지를 확인하면서 경과 관찰하는 경우가 많다. 달리 이야기 하면 크기가 커지거나 모양이 변하는 경우 파열이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때는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그외 다발성 뇌동맥류나 어린 나이에 발생한 뇌동맥류 환자의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검사 및 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Q. 환절기 뇌동맥류 더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 추운 환절기나 겨울에는 혈관의 수축과 이완이 발생하면서 혈압의 변화로 파열의 위험성이 높아져 뇌동맥류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하지만 최근 데이터를 보면 계절별로 파열 환자의 쏠림 현상은 많이 줄어들고 있으며 사계절 고루 파열 환자가 발생하는 추세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계절에 조심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닌 평상시에도 조심해야할 질환으로 변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40세 이상에서는 선별 검사를 위해 뇌혈관 검사(CTA or MRA)를 할 것을 권유하며 평소 위험인자가 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그리고 술 담배 등에 대하여 관리가 중요하다.
Q. 뇌동맥류를 더 조심해야하는 환자군(기저질환 환자)가 있나요?
- 최근 다른 연구기관에서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50만 명의 검진 데이터를 활용해 뇌동맥류 발병 위험의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가족 중 2명 이상의 뇌동맥류가 있는 가족력이나 다낭성 신장질환 같은 특정 유전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 시행해 왔던 선별검사를 고령,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가족력과 더불어 비만, 허리둘레, 고지혈증 같은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뇌동맥류의 발생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선별적으로 검사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다. 아직은 선별검사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은 없지만 앞서 언급한 많은 위험인자(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그리고 술 담배)에 대하여 평소 적극적인 관리가 향후 뇌동맥류 발생이나 파열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Q. 뇌동맥류 예방법
- 대부분 뇌혈관 질환은 예고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위험인자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전문의와 상의해 철저하게 혈압약물 및 당뇨약물, 그리고 고지혈증 약물 등을 잘 복용해야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두통이나 어지러움증 등 관련 초기 증상 등을 자주 경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경외과 뇌혈관 전문의와 상담해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과 금연, 금주 등 생활습관을 철저히 개선하고 평소 충분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여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 것이 좋으며 너무 춥거나 더운 경우 몸의 체온 및 수분 밸런스 등을 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도움말 일산백병원 신경외과 구해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