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 3. 8
서울시가 왕십리로에 설치돼 운영 중인 가변차로 폐지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일 최판술 서울시의원(국민의당, 중구1)에 따르면 시가 가변차로 폐지와 이에 따른 교통운영 개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가변차로는 1981년 8월 소공로(조선호텔∼한국은행)에 처음으로 도입된 후 서울시내 총 16개 도로(총연장 19.74km)에 확대 적용돼 운영됐으나, 현재 소공로, 왕십리로를 제외한 나머지 14개 구간은 모두 폐지됐다.
왕십리로 가변차로는 좌회전 차로 구성이 어렵고, 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이를 개선해달라는 목소리도 커졌다. 청계천 복원공사에 따라 설치된 왕십리 가변차로로 인해 중구와 성동구 주민들은 지난 15년간 통행권 제한과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감수해왔다. 결국, 지난 3일 서울시의회에서 최판술, 김기대 의원이 '중구와 성동구 주민 안전과 편의를 위한 왕십리로 가변차로 폐지와 도로교통공단 사거리 좌회전 신호 신설에 관한 청원'을 소개하고 의회는 청원 의견서를 채택해 시로 이관했다.
실제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 따르면 지난 12년부터 15년까지 4년간 왕십리로에서 발생한 중상사고 통계건수는 162건에 달한다. 더욱이 15년 서울시 평균 사고건수(단위: 건/10km)가 50.56건인데 가변차로에서는 427.27건으로 가변차로의 사고비율이 일반도로 대비 무려 8배나 높게 나타났다.
시는 청원에 대한 의견으로 "주변 주거단지 개발에 따른 좌회전 수요가 높다"며 "관련 기관과의 검토 회의 결과 폐지가 필요한 것으로 의견을 같이 한 만큼 교통운영 개선 방안을 검토 하겠다"고 밝혔다.
최판술 의원은 "가변차로를 도입한 목적도 사라진 현 상황을 고려했을 때 가변차로 폐지는 중구, 성동구 주민뿐만 아니라 서울 시민 모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꼭 필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